포항터미널: 편안하고 즐거운 여행의 시작
Home
터미널 홈 | 관광정보 | 고객센터
1/3
← 이전
강구
강릉
거제(고현)
거진
경기도 광주
경북도청
경산
경주
고양
고한
광양
광주(전남)
구리
구미
구산
군산
기성
기지시
기흥역
김해
김해공항
대구대
대구북부
대구서부
도곡
도평
동광양(중마)
동대구
동서울
동해
마산
매화
모화
목포
문경
병곡
병원
부구
다음 →
공지사항 | MORE
2025-03-18 2025.4.1부터 부산동부 일...
2025-03-18 2025.4.1부터 구미 일부시...
2025-03-13 25.3.24(월)부터 광주,목...
2025-03-07 시외,고속버스 심야할증 상향조정...
2025-03-07 25.3.21(금)부터 심야할증...
질문과 답변 | MORE
2025-03-20 인천공항버스 예매 시, 티켓 발...
2025-03-19 분실물 문의 연락처를 여쭤보고자...
2025-03-18 3783 감사의 글
2025-03-17 핸드백과 주민등록증
2025-03-15 포항->순천 승차권 분실 및 탑...
피데기 오징어
구룡포 피데기는 동해 청정해역 지역에서 어획한 오징어를 구룡포 산지의 신선한 바닷바람으로 피득한 수준(75%)까지 건조시킨 것으로 육질이 연하고 고소하다. 구룡포 항으로 입항하는 선박에서 오징어를 직접 받아서 활복 및 건조시켜 상품을 출하하며 전국 유통물량 95%를 차지한다.
...
화진해수욕장
포항시에서 북으로 20km가량 떨어진 화진해수욕장은 백사장길이 400m, 폭 100m, 평균수심 1.5m , 총10,000평의 백사장에 하루 5만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나무가 많고 물이 맑으며 주위 경관이 좋아 가족과 함께 피서를 즐기기에 좋은 곳이다. 게다가 송라면 보경사 12폭포를 인근에 두고 있기 때문에 이를 구경하고 해수욕을 즐기기 위해서라도 들릴만한 곳이다.
...
포항 해맞이빵
손으로 직접 빚어 정성이 깃든 포항의 명물로 새천년 호미곶 해맞이행사 포항시 공식 지정식품이다. 번철에서 갓 구워 나왔을 때 껍질이 아삭아삭한 과자맛이 나며 알맞은 온도와 반죽으로 구워내서 빵이 손에 붙지 않는다. 시간이 경과되면서 촉촉해지는 것이 특징, 갖구워 나왔을 때 촉촉한 맛을 느낄 수가 있는데, 이때 따뜻할 때 느끼지 못했던 진짜 빵만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다. 냉동보관을 통해 얼려서 아이스크림처럼 먹을 수 있다. 또한 무엇보다 방부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유통기한도 길어서 두고두고 안심하며 먹을 수 있는 것이 해맞이 빵만의 남다른 특징이다.
...
부추
해안변 염기포화도가 높은 지역에서 깨끗한 심층지하수를 관수하여 재배한 포항부추는 독특한 향과 풍부한 영양분을 가지고 있으며, 해양성 기후로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서늘하여 겨울철 생육이 잘되어 수확량이 많으며 뿌리 부위의 양분 축척이 많고 비타민 A,B, C, 칼슘을 함유하고 있어 다른 야채에 비해 단백질, 당질, 회분 등도 풍부하며 강장채소로 널리 알려져 있는 부추는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이질, 고혈압, 당뇨, 빈혈, 산후통증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초강목에서 전해지고 있다.
...
오어사
포항에서 24km 남쪽의 운제산 동쪽기슭에 있는 오어사는 신라 진평왕때 자장율사가 세운 절로 원래 이름은 항사사라 하였으나 원효대사와 혜공선사가 수도당시 계곡상류 반두석에서 놀다가 서로 수도한 법력을 겨루어 보고자 하여 낚시로 고기를 낚아 다시 살리는 재주를 겨루었는데 그 중 생환한 고기 한 마리를 서로 자기가 살린 고기라고 주장한데서 오어사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고 하는 전설이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현재 대웅전, 나한전, 자장암, 원효암이 계곡에 있으며, 운제산 북쪽기슭의 홍계폭포와 동쪽의 오어 저수지 등의 풍치가 뛰어 나고 인근의 향어회가 유명하다.
...
과메기
포항출신이라면 늦은 겨울 밤 식구들끼리 둘러 앉아 생미역에 돌돌 말아 초고추장 푹 찍어먹던 "과메기" 맛을 모르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음력 동짓날 추운 겨울에 잡힌 꽁치를 두름으로 엮어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걸어두고 충분한 시간을 두어 말린 과메기는 이제 포항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진 별미가 되었다. 그런데 과메기의 주인공은 꽁치가 아니라 "청어"였다. 동해에는 예로부터 청어잡이가 활발해서 겨우내 잡힌 청어를 냉훈법이란 독특한 방법으로 얼렸다 녹였다 하면서 건조시키는데 지금의 꽁치를 그냥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걸어두어 자연 건조시키는 것과는 달리 이 냉훈법에서는 조상의 슬기와 지혜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청어 과메기의 건조장은 농가 부엌의 살창이라는 곳이었다. 농촌에서는 밥을 지을 때 솔가지를 많이 때는데 이 살창은 솔가지를 땔때 연기를 빠져 나가게 하는 역할을 했다. 이 살창에 청어를 걸어두면 적당한 외풍으로 자연스럽게 얼었다 녹았다 하는 과정이 반복되고 완성된 청어 과메기를 궁중에까지 진상하였다고 하니, 그 맛은 지금의 꽁치 과메기와는 달랐을 것이다.
...